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여름 필수 과일 블루베리

 봄과 여름이 오면 입맛을 돋우는 과일 중 하나가 블루베리다. 이 작은 과일을 한 움큼 먹으며 새콤달콤한 과즙을 느낄 수 있다. 블루베리는 오랜 기간 야생에서 자라오다 1920년대 북아메리카 뉴저지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고, 한국에서도 '듀크', '스위트하트', '신틸라' 등의 품종이 도입되며 재배가 활발해졌다. 2007년에는 2.4헥타르였던 재배 면적이 2020년에는 1939헥타르로 크게 증가했다.

 

블루베리의 인기는 단지 그 맛 때문만은 아니다. 비타민C, 비타민K, 칼륨, 망간 같은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도 좋으며, 특히 항산화물질인 플라보노이드가 많아 건강에 유익하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그중에서도 안토시아닌은 빨강, 보라, 파랑 계열의 색소로, 뇌 건강과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마인드 식단에서도 블루베리 섭취를 강조하며,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먹는 것을 추천한다.

 

블루베리를 선택할 때는 표면에 하얀 과분이 있는 것이 좋다. 이는 과일이 신선하다는 표시로, 과분은 당도나 농약이 아닌 블루베리의 표피를 보호하는 자연적인 왁스층이다. 이 왁스층은 블루베리가 햇볕에 노출되어 수분을 잃지 않도록 도와준다. 무농약으로 재배된 블루베리는 씻어서 그대로 먹기 좋아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블루베리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식량이었다. 생으로 먹기도 하고, 말려서 스튜나 푸딩으로 만들어 먹기도 했다. 말린 고기와 지방, 건조 블루베리를 섞어 저장 식품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알래스카 원주민들은 물개 기름에 블루베리를 절여 먹기도 했다. 오늘날 한국에서도 블루베리를 요리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처럼 계절에 따라 변하는 음식을 즐기며 블루베리의 맛과 효능을 누리는 것은 인생의 큰 즐거움이다.

 

여행핫클립

이성계의 '거짓말'로 탄생한 산의 충격적 비밀... 전문가들 '경악'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남해의 금산(705m)은 조선 건국의 비밀이 담긴 산이다. 이성계는 이곳 보리암에서 왕이 되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파격적인 약속을 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약속은 결국 산 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넣는 것으로 대체됐다. 관음봉, 화엄봉, 일월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줄지어 있는 이곳은 특히 상사바위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이 압권이다. 금산산장 근처의 한 벤치는 '대한민국 최고의 컵라면 맛집'이라는 특별한 명성까지 얻었다.수도권의 대표 명산인 도봉산(740m)은 '푸른 하늘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시구처럼 장엄한 화강암 봉우리들이 하늘을 찌른다.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은 등산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특히 구름이 산수화를 그리는 듯한 우중산행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촘촘한 등산로를 자랑한다.호남의 영산 무등산(1,187m)은 57년 만에 완전 개방되어 화제다. '견줄 데 없이 높다'는 뜻의 이름처럼 천왕봉(1,187m), 지왕봉(1,175m), 인왕봉(1,164m)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정상부가 압도적이다.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예로부터 남도민들의 신앙 대상이었다.경기도 제2의 고봉인 명지산(1,267m)은 '숨은 보석'으로 불린다. 청우산에서 시작해 대금산, 매봉산, 연인산으로 이어지는 70리 능선은 겨울 종주 코스의 명소다.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절해고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압도적인 풍경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