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쉬 마려워?"…인간만 몰랐던 침팬지의 은밀한 신호

 사람들 사이에서 누군가 하품을 하면 주변 사람들도 따라 하품을 하는 것처럼, 소변도 전염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현상이 인간뿐 아니라 침팬지에게서도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일본 교토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침팬지에게도 '전염성 배뇨' 현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보고했다. 전염성 배뇨는 특정 개체의 배뇨 행동이 주변 개체들의  배뇨 행동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은 일본 구마모토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침팬지 20마리를 대상으로 604시간 동안 관찰하며 1328건의 배뇨 행동을 기록했다. 분석 결과, 침팬지들은 예상보다 훨씬 동시다발적으로 소변을 보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다른 침팬지와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을수록, 그리고 그 침팬지의 서열이 높을수록 따라서 소변을 볼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무리 내에서 서열이 낮은 침팬지는 우두머리 침팬지의 행동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따라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전염성 배뇨' 현상은 하품 전염과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사회적 친밀도와는 큰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에서 하품 전염은 친밀한 개체 사이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전염성 배뇨 현상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또한, 침팬지의 전염성 배뇨는 단순한 모습  imitation을 넘어 집단 내 응집력 강화, 사회적 유대감 형성, 정보 전달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전염성 배뇨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침팬지 이외의 다른 동물들에게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행핫클립

이성계의 '거짓말'로 탄생한 산의 충격적 비밀... 전문가들 '경악'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남해의 금산(705m)은 조선 건국의 비밀이 담긴 산이다. 이성계는 이곳 보리암에서 왕이 되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파격적인 약속을 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약속은 결국 산 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넣는 것으로 대체됐다. 관음봉, 화엄봉, 일월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줄지어 있는 이곳은 특히 상사바위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이 압권이다. 금산산장 근처의 한 벤치는 '대한민국 최고의 컵라면 맛집'이라는 특별한 명성까지 얻었다.수도권의 대표 명산인 도봉산(740m)은 '푸른 하늘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시구처럼 장엄한 화강암 봉우리들이 하늘을 찌른다.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은 등산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특히 구름이 산수화를 그리는 듯한 우중산행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촘촘한 등산로를 자랑한다.호남의 영산 무등산(1,187m)은 57년 만에 완전 개방되어 화제다. '견줄 데 없이 높다'는 뜻의 이름처럼 천왕봉(1,187m), 지왕봉(1,175m), 인왕봉(1,164m)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정상부가 압도적이다.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예로부터 남도민들의 신앙 대상이었다.경기도 제2의 고봉인 명지산(1,267m)은 '숨은 보석'으로 불린다. 청우산에서 시작해 대금산, 매봉산, 연인산으로 이어지는 70리 능선은 겨울 종주 코스의 명소다.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절해고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압도적인 풍경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