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은 무덤 속에? 무안공항 개량사업 의혹, 고인과 함께 묻히나

 무안공항 개량공사시 역임했던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숨진채 발견됐다. 

 

2020년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공사 당시 수장이었던 손창완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21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당시 공사를 둘러싼 의혹들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 경위를 조사 중이지만, 손 전 사장이 재임 시절 추진했던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사업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었던 만큼, 그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손 전 사장은 2018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한국공항공사 사장을 역임하며 2020년 5월 무안공항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개량 사업을 진행했다. 

 

문제는 해당 사업 과정에서 제기된 안전 불감증 논란이다. 한국공항공사는 2020년 3월 입찰 공고 당시 장비 안테나 및 철탑, 기초대 등 계기 착륙시설 설계 시 '부러지기 쉬움'을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실제 개량 공사에서는 안테나 부분만 부러지기 쉽게 설계되었고, 콘크리트 둔덕은 그대로 방치되었다. 이후 해당 콘크리트 둔덕은 제주항공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논란이 증폭되었다.

 

일각에서는 손 전 사장이 경찰 출신으로 2011년 경찰대학장까지 역임한 인물이라는 점을 들어, 안전에 대한 그의 무감각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2016년 20대 총선 낙선 후 한국공항공사 사장으로 취임했지만, 전문성 부족 논란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경찰은 손 전 사장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그의 죽음으로 인해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사업을 둘러싼 의혹들은 더욱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철저한 진상규명을 통해 고인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을 해소하고, 향후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여행핫클립

이성계의 '거짓말'로 탄생한 산의 충격적 비밀... 전문가들 '경악'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남해의 금산(705m)은 조선 건국의 비밀이 담긴 산이다. 이성계는 이곳 보리암에서 왕이 되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파격적인 약속을 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약속은 결국 산 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넣는 것으로 대체됐다. 관음봉, 화엄봉, 일월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줄지어 있는 이곳은 특히 상사바위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이 압권이다. 금산산장 근처의 한 벤치는 '대한민국 최고의 컵라면 맛집'이라는 특별한 명성까지 얻었다.수도권의 대표 명산인 도봉산(740m)은 '푸른 하늘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시구처럼 장엄한 화강암 봉우리들이 하늘을 찌른다.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은 등산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특히 구름이 산수화를 그리는 듯한 우중산행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촘촘한 등산로를 자랑한다.호남의 영산 무등산(1,187m)은 57년 만에 완전 개방되어 화제다. '견줄 데 없이 높다'는 뜻의 이름처럼 천왕봉(1,187m), 지왕봉(1,175m), 인왕봉(1,164m)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정상부가 압도적이다.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예로부터 남도민들의 신앙 대상이었다.경기도 제2의 고봉인 명지산(1,267m)은 '숨은 보석'으로 불린다. 청우산에서 시작해 대금산, 매봉산, 연인산으로 이어지는 70리 능선은 겨울 종주 코스의 명소다.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절해고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압도적인 풍경을 자랑한다.